수도권 통근족·학생이라면 주목!
‘기후동행카드’는 서울시와 경기도가 공동 운영하는 지하철·버스를 월 정액제로 무제한 이용 가능한 교통 패스입니다.
월평균 4~6만 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있는, 전 연령 대상의 대중교통 구독형 상품입니다.
✅ 기후동행카드 개요
- 대상: 서울·경기 지역 거주자 누구나 (연령 제한 없음)
- 이용 범위: 수도권 도시철도(지하철) + 서울·경기 시내버스 무제한
- 유효기간: 30일 기준, 자동 갱신 가능
- 이용 한도: 1일 최대 20회 사용 가능
💳 요금제 종류 (2025년)
종류 | 월 요금 | 포함 항목 |
---|---|---|
기본형 | 65,000원 | 지하철 + 시내버스 (서울·경기) |
모바일형 | 62,000원 | 모바일 교통카드 전용 (페이코, 티머니GO) |
녹색교통 통합형 | 76,000원 | 지하철 + 버스 + 서울 공공자전거 ‘따릉이’ |
※ 공항버스, 광역버스, 마을버스, 시외버스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📝 신청 방법
- 공식 사이트: gpass.seoul.go.kr
- 모바일 발급: 페이코 앱, 티머니GO 앱
- 실물카드 발급: 티머니 온·오프라인 가맹점 (별도 등록 필요)
- 결제 방식: 카드 자동결제 또는 앱 내 충전

💡 유의사항 및 활용 팁
- 📌 일반 정기권과 중복 사용 불가 (택일 필수)
- 📌 1일 20회 이용 제한 있음
- 📌 출퇴근 20일 기준 월 40회 이상 사용 시 효율 극대화
- 📌 따릉이 사용자라면 통합형 요금제 선택이 유리
- 📌 정기권 대비 광역이동 포함 범위가 넓어 장거리 통근자에게도 이점 있음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🏢 2025 고용지원금 정리 (0) | 2025.06.27 |
---|---|
🏛️ 2025 퇴직금 연금 의무화 정리 (0) | 2025.06.27 |
💸 2025 서울시 청년지원금 통합 혜택 정리 (5) | 2025.06.27 |
🏠 2025 서울시 청년 월세지원 최대 200만원 받는 방법 정리 (1) | 2025.06.26 |
🧾 2025 차상위계층 생활안정급여 확대 정리 (2) | 2025.06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