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

🚆 2025 수도권 기후동행카드 정리

by 허니통남 2025. 6. 27.

 

 

 

 

수도권 통근족·학생이라면 주목!

‘기후동행카드’는 서울시와 경기도가 공동 운영하는 지하철·버스를 월 정액제로 무제한 이용 가능한 교통 패스입니다.
월평균 4~6만 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있는, 전 연령 대상의 대중교통 구독형 상품입니다.


 

✅ 기후동행카드 개요

  • 대상: 서울·경기 지역 거주자 누구나 (연령 제한 없음)
  • 이용 범위: 수도권 도시철도(지하철) + 서울·경기 시내버스 무제한
  • 유효기간: 30일 기준, 자동 갱신 가능
  • 이용 한도: 1일 최대 20회 사용 가능

 

💳 요금제 종류 (2025년)

종류 월 요금 포함 항목
기본형 65,000원 지하철 + 시내버스 (서울·경기)
모바일형 62,000원 모바일 교통카드 전용 (페이코, 티머니GO)
녹색교통 통합형 76,000원 지하철 + 버스 + 서울 공공자전거 ‘따릉이’

※ 공항버스, 광역버스, 마을버스, 시외버스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
 

📝 신청 방법

  • 공식 사이트: gpass.seoul.go.kr
  • 모바일 발급: 페이코 앱, 티머니GO 앱
  • 실물카드 발급: 티머니 온·오프라인 가맹점 (별도 등록 필요)
  • 결제 방식: 카드 자동결제 또는 앱 내 충전

 

 

 

💡 유의사항 및 활용 팁

  • 📌 일반 정기권과 중복 사용 불가 (택일 필수)
  • 📌 1일 20회 이용 제한 있음
  • 📌 출퇴근 20일 기준 월 40회 이상 사용 시 효율 극대화
  • 📌 따릉이 사용자라면 통합형 요금제 선택이 유리
  • 📌 정기권 대비 광역이동 포함 범위가 넓어 장거리 통근자에게도 이점 있음

✔️ 결론: 수도권 대중교통 사용자라면 월 6만 원대로 지하철·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는 실질적 교통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최고의 대안입니다.